Loading...
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
원고작성요령
  • home
  • 공익사업
  • 학술지
  • 학술지 규정
  • 원고작성요령

1. 일반사항

1.1 원고의 내용

교육환경 또는 교육시설 및 녹색환경 분야에 관하여 논리적 또는 실험적 연구성과를 얻은 독창적인 내용의 학술연구논문으로 하며 관련 세부분야는 아래와 같다.

  • 1교육환경분야
  • 2교육시설분야
  • 3교육시설 녹색환경분야
  • 4융복합분야

1.2 원고의 구성

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함을 표준으로 한다.

  • 1제목(영문 병기)
  • 2성명(영문 병기), 소속
  • 3영문요약
  • 4키워드(영문 병기)
  • 5본문(서론, 본론, 결론, 국문요약, 인용 및 참고문헌) : 단 본론의 내용구분은 그 내용에 상응하게 장으로 구분한다.

1.3 원고작성

  • 1논문은 컴퓨터로 작성하되 한글워드 프로그램을 사용하며, 외국인의 경우 MS-Word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.
  • 2키워드까지는 1단으로, 본문부터는 2단으로 편집한다.

1.4 원고분량

논문 원고분량은 A4의 8쪽을 기본으로 하되, 최대 16쪽까지 가능하다. 단, 10쪽을 초과할 경우 학술지 규정에 따라 투고비가 증가한다.

1.5 본문의 장, 절, 항

  • 1본문의 장, 절, 항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.
    • 장 : Ⅰ, Ⅱ, Ⅲ…
      절 : Ⅰ-1, Ⅰ-2, Ⅰ-3 …
      항 : 1), 2), 3)…, (1), (2), (3)…, ①, ②, ③…
  • 2장 타이틀은 위, 아래 각각 1행씩을 띄우고, 절 타이틀은 위만 1행을 띄우고, 항 타이틀은 위, 아래 모든 행을 띄우지 않는다.

2. 사용어 및 외래어 표기

2.1 사용어

  • 1사용어는 국어를 원칙으로 한다. 다만 표, 그림의 제목은 영어로 표기한다.
  • 2사용문자는 한글을 원칙으로 하며 필요한 경우 괄호 안에 한자를 추가할 수 있다.
  • 3한글의 맞춤법은 교육부의「한글맞춤법」을 따른다.

2.2 외래어 표기

  • 1외래어는 한글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하되, 단, 한글로 표기함으로써 의미전달이 되지 않는 외래어는 원어 그대로 표기한다.
  • 2외래어의 표기는 「외래어표기법」을 따른다.
  • 3영문화가 곤란한 한글용어는 로마자로 표기한다.
  • 4로마자 표기는「외래어표기법」을 따른다.
  • 5로마자를 사용하는 외래어의 표기는 모두 소문자로 한다.
  • 6그림, 사진, 표의 내용 및 설명에서 로마자표기로 의미전달이 곤란한 한글용어는 로마자로 표기 후 괄호 안에 한글을 추가할 수 있다.

2.3 숫자 및 수식

  • 1숫자
    • 수량을 표시할 때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.
    • 1이하의 숫자는 소수점 앞에 반드시 0을 표기한다.
    • 분수는 분자와 분모사이에 /를 사용하여 표기한다.
    • 네 자리 이상의 수는 세 자리마다 자리표시(,)를 한다.
  • 2수식
    • 수식은 줄을 바꾸어 다음의 1행으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    • 수식이 2행 이상에 걸칠 때에는 “=”기호부터 줄을 바꾸어 그 위치를 통일시킨다. 다만 이에 따를 수 없을 때에는 "+, -, ×, ÷"등의 기호부터 줄을 바꾸어 표기한다.
    • 수식의 오른쪽에 <1>, <2>, <3>… 등의 수식 일련번호를 표기한다.

3. 단위 및 기호 표기

3.1 단위

모든 단위는 미터법으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.

3.2 기호

단위기호 및 양(量)기호에 대하여는 한국공업규격의 단위기호, 양기호에 따른다.

4. 그림 및 사진, 표 작성

4.1 그림 및 사진

  • 1그림 및 사진 제작
    • 그림은 전산출력물을 사용하며, 그림에 기입할 문자는 역시 전산출력문자를 사용한다. 사진은 원화 중 선명한 것을 사용한다.
    • 그림 및 사진의 가로크기는 편집시 최대 150㎜로 한다.
  • 2그림 및 사진 첨부방법
    • 그림 및 사진은 원본에 삽입함을 원칙으로 한다.
  • 3그림 및 사진 번호와 제목
    • 그림 및 사진의 일련번호와 제목(캡션)은 그림 및 사진 아래 가운데에 기재한다.
    • 일련번호 및 제목은 다음 예와 같이 기입한다.
      예) Figure 1. The school curriculum
    • 여러 그림 및 사진이 한 묶음이 될 경우 각 그림마다 a), b), c) 등의 기호를 넣고 제목을 붙인다.
      예)

4.2 표 작성

  • 1표의 제목 및 내용은 영어로 작성하며 본문에 직접 삽입한다.
  • 2모든 표의 일련번호와 제목(캡션)은 표 위 왼쪽에 기재한다.
  • 3일련번호 및 제목은 다음 예와 같이 기입한다.
    • 예)

      Table 1. Number of elementary schools in each school

      표작성 예
      Building A B C D E
      number of schools 12 14 16 10 17
  • 4표 중의 주기는 해당 표의 바로 밑에 기재한다.
  • 5표의 모양은 윗선, 아랫선은 모두 진하게, 나머지 선은 보통선, 왼쪽과 오른쪽 선은 투명하게 한다.

5. 주기방법

5.1 일반주기

  • 1모든 주기는 각주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.
  • 2주기가 필요한 부분은 해당 마지막 글자의 오른쪽 상부에 주기 일련번호를 반괄호 속에 넣어 기재하고, 해당 쪽의 하단에 주기번호 및 설명을 삽입한다.

5.2 인용문헌의 주기

  • 1본문 중 인용문이 있을 때에는 이를 인용부호(“ ”)로 표시하고, 그 출전을 일반주기와 동일하게 표기한다.
  • 2주기에 있어서 인용문헌의 항목과 설명은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표기한다.
    • 출전이 단행본인 경우
      저자명 (출판연도). 도서명. 판차, 출판지, 출판사, 인용한 쪽.
      예) 이소현, 박은혜 (2011). 특수아동교육. 제3판, 서울, 학지사. 102-105.
      Wotherspoon, Terry (2009). Sociology of Education in Canada. 3rd ed., Oxford, Oxford Univ Pr on Demand, 5.
    • 출전이 정기간행물인 경우
      저자명 (간행연도). 제목. 간행물명, 권수(호수), 인용한 쪽. DOI
      예) 맹준호, 김성중, 이승민, 고현수 (2018). 학교시설 현황분석을 통한 에너지절약설계 개선방향 연구. 敎育·綠色環境硏究, 17(3), 2-3. https://doi.org/10.7743/kisee.2018.17.3.001
      예) Anzhelina A. Koriakina (2016). Multicultural Informational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. Educational Process: International Journal, 5(4), 293-297. https://doi.org/10.22521/edupij.2016.54.3
    • 출전이 학위논문인 경우
      저자명 (출판연도). 논문제목. 학교명 (석사 혹은 박사)논문, 인용한 쪽.
      예) 송병준 (2012). 학교시설개선을 위한 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.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, 20-25.
    • 출전이 인터넷, 전자문헌인 경우
      저자명 (간행연도). 제목. 간행물명, 권수(호수), 인용한 쪽. 인용 및 참고 시점 및 출처
      예) Michaela L. Z. Farber (2009). Parent Mentoring and Child Anticipatory Guidance with Latino and African American Families. Health & Social Work, 34(3), 179-189. Retrieved February 1, 2019 from http://www.socialworkblog.org
    • 저자는 전원 표기하여야 하며 정기간행물의 경우 제목은 문장체로 표기한다. (첫글자와 고유명사만 대문자)
    • 위에 언급되지 않은 기타의 경우에는 APA스타일 기준을 따른다.

6. 참고문헌 및 기타

6.1 참고문헌의 기재방법

  • 1참고문헌은 본문 뒤에 일괄적으로 기재하되, 인용 및 참고부분이 본문에 표기된 문헌에 한한다.
  • 2참고문헌의 기재항목과 순서는 5.2의 (2)에 준하여 표기한다.
  • 3여러 나라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 한국, 중국, 일본, 서양 서적 순으로 열거한다.
  • 4참고문헌에 대한 정확한 식별 및 접근을 위하여 모든 참고문헌에 식별정보(DOI: Digital Object Identifier)를 기입한다. 다만 DOI 식별정보가 없는 참고문헌에 대해서는 제외한다.

6.2 주저자의 기재방법

공동저자가 있는 경우 첫 번째 위치에 기입된 자를 주저자로 한다.

6.3 기타

일정 기관으로부터 지원받은 사항에 대한 내용은 첫 쪽의 하단에 각주로 기재한다.

Kakao Channel 바로가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