범주 | 평가항목 | 세부평가기준 | 구분 | 배점 |
---|---|---|---|---|
1.1 생태적가치 | 1.1.1 기존대지의 생태학적 가치 | 기존 대지의 생태학적 가치, 토지이용 현황, 용도지역 등을 근거로 점수 부여 | 평가항목 | 2 |
1.2 인접대지 영향 | 1.2.1 일조권 간섭방지대책의 타당성 | 인접대지 경계선으로부터 대상 건축물 정북방향의 각 부분의 높이를 잰 최대 앙각 | 평가항목 | 2 |
1.3 교통부하 저감 | 1.3.1 대중교통의 근접성 | 대중교통시설(철도역, 지하철역, 버스터미널, 버스정류소)과의 도보거리 | 평가항목 | 2 |
1.3.2 자전거 보관소 설치여부 | 자전거 보관소 설치 및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샤워시설 마련 여부 | 평가항목 | 2 |
범주 | 평가항목 | 세부평가기준 | 구분 | 배점 |
---|---|---|---|---|
2.1 에너지 절약 | 2.1.1 에너지 성능 |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(국토교통부 고시 제)의 ‘에너지성능지표 검토서’에서 취득한 점수 또는 건축물 에너지효율 인증 등급을 근거로 평가 | 필수항목 | 12 |
2.1.2 계량기 설치 여부 | 용도별 사용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는 계량기 설치 여부 | 평가항목 | 2 | |
2.1.3 조명에너지 절약 | 조명밀도 및 조명방식에 대한 평가 | 평가항목 | 4 | |
2.2 지속가능한 에너지원 사용 | 2.2.1 신·재생에너지 이용 | 신·재생에너지 시설의 설치 비율에 따라 점수를 부여 | 평가항목 | 3 |
2.3 지구온난화 방지 | 2.3.1 이산화탄소 배출저감 | 이산화탄소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시스템의 적용여부 평가 | 평가항목 | 3 |
2.3.2 오존층보호를 위한 특정물질의 사용금지 |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오존층 파괴물질 기준에 따라 평가 | 평가항목 | 3 |
범주 | 평가항목 | 세부평가기준 | 구분 | 배점 |
---|---|---|---|---|
3.1 자원 절약 | 3.1.1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소비재 절약 | 건축물내 화장실에서 세수 후 건조방법에 대하여 평가 | 평가항목 | 1 |
3.2 지속가능한 자원 활용 | 3.2.1 유효자원 재활용을 위한 친환경인증제품 사용여부 | 환경표지인증제품 또는 GR마크 인증제품의 사용 여부를 평가 | 필수항목 | 3 |
3.2.2 재활용 가능자원의 분리수거 | 재활용 폐기물 보관시설 설치 및 분리품목 종류에 의해 평가 | 필수항목 | 2 | |
3.2.3 재료의 탄소배출량 정보표시 | 사용된 재료 및 자재의 탄소성적표시 인증 여부를 평가 | 평가항목 | 2 | |
리모델링시에만 평가 | 3.2.4 기존 건축물의 주요구조부 재사용으로 재료 및 자원의 절약 | 전면 리모델링 건축물에 대하여 주요구조부의 재사용률에 따라 평가 | 가산항목 | 7 |
3.2.5 기존 건축물의 비내력벽 재사용으로 재료 및 자원의 절약 | 전면 리모델링 건축물에 대하여 비내력벽의 재사용률에 따라 평가 | 가산항목 | 2 |
범주 | 평가항목 | 세부평가기준 | 구분 | 배점 |
---|---|---|---|---|
4.1 수순환체계구축 | 4.1.1 우수부하 절감대책의 타당성 | 대지내 설치된 우수유출저감시설 연계면적의 비율로 평가 | 평가항목 | 3 |
4.2 수자원 절약 | 4.2.1 생활용 상수 절감 대책의 타당성 | 환경표지인증을 받은 제품의 적용 여부에 따라 평가 | 필수항목 | 4 |
4.2.2 우수 이용 | 우수를 빗물이용시설의 시설기준 및 중수도 수질기준에 의한 살수용수, 조경용수 등으로 이용하는 시설의 설치 여부에 따라 평가 | 평가항목 | 3 | |
4.2.3 중수도 설치 | 사용한 수돗물을 처리하는 중수도 시설로 생산한 중수의 살수용수, 조경용수 등으로의 사용률을 평가 | 평가항목 | 3 |
범주 | 평가항목 | 세부평가기준 | 구분 | 배점 |
---|---|---|---|---|
5.1 체계적인 현장관리 | 5.1.1 환경을 고려한 현장관리계획의 합리성 | 시공회사의 ISO14001 획득여부와 현장운영지침에서의 환경우선정책 채택 정도 | 평가항목 | 1 |
5.2 효율적인 건물관리 | 5.2.1 운영/유지관리 문서 및 지침제공의 타당성 | 건축물 관리자를 위해 관련 장비/설비의 효과적인 운영/유지관리를 위한 매뉴얼 및 지침이 제공되는지의 여부를 평가 | 필수항목 | 2 |
5.2.2 TAB 및 커미셔닝 실시 | TAB 및 커미셔닝 실시 여부 | 평가항목 | 2 | |
5.3 시스템 변경의 용이성 | 5.3.1 거주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공간 배치 및 시스템 변경 용이성 | 실내공간에 설치된 시스템의 기술적 측면에서 변경 용이성에 대하여 평가 | 평가항목 | 4 |
범주 | 평가항목 | 세부평가기준 | 구분 | 배점 |
---|---|---|---|---|
6.1 대지 내 녹지공간 조성 | 6.1.1 자연지반녹지율 | 전체 대지 내에 분포하는 자연지반녹지(인공지반 및 건축물 상부의 녹지 제외)의 비율로 평가 | 평가항목 | 2 |
6.2 외부공간 및 건물외피의 생태적 기능 확보 | 6.2.1 생태면적률 | 생태적 가치를 달리하는 공간유형을 구분하고, 각 공간유형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곱하여 구한 환산면적의 합과 전체 대지면적의 비율로 평가 | 평가항목 | 6 |
6.3 생물서식공간조성 | 6.3.1 비오톱 조성 | 비오톱 조성을 위해 채용된 기법으로 대상으로 정성적, 정량적으로 평가 | 평가항목 | 4 |
범주 | 평가항목 | 세부평가기준 | 구분 | 배점 |
---|---|---|---|---|
7.1 공기환경 | 7.1.1 실내공기오염물질 저방출 자재의 사용 | 유해화학물질 저방출자재의 적용정도에 대해 평가 | 필수항목 | 3 |
7.1.2 자연환기성능 확보 여부 | 이용자가 직접 외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자연통풍이 가능한 환기창/환기구의 설치 여부를 평가 | 평가항목 | 3 | |
7.1.3 외기 급·배기구의 설계 | 신선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공조 급?배기구 설계도서 확인 | 평가항목 | 3 | |
7.1.4 건축자재로부터배출되는 그 밖의 유해물질 억제 | 건축물내에서 석면이 포함된 자재를 사용하는지를 평가 | 평가항목 | 1 | |
7.2 온열환경 | 7.2.1 실내 자동온도조절 장치 채택 여부 | 실내 자동온도조절장치 적용 비율 | 평가항목 | 2 |
7.3 음환경 | 7.3.1 교통소음(도로,철도)에 대한 실내 소음도 | 「공동주택의 소음측정기준」(국토교통부 고시)에서 정하고 있는 예측 및 측정방법에 따라 실내소음도를 평가 | 평가항목 | 2 |
7.4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 | 7.4.1 휴식 및 재충전을 위한 공간 마련 | 거주자에게 휴식 및 재충전을 위한 전용휴게공간이 조성되어 있는지를 평가 | 평가항목 | 3 |
7.4.2 거주자를 위한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 | 거주자에게 실내환경조절방식의 제공여부를 통해 평가 | 평가항목 | 4 |